
그 친구는 병마에 오랫동안 시달려 온몸의 극심한 고통을 껴안은채 삶을 마감했다. 그 친구가 평소에 늘 했던 말은 나는 죽음뒤의 내 존재를 믿는다. 그러나 그 어떤 생물체로도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이라고. 모든 생명체는 아픔의 고통을 느끼고 소멸하기 때문에, 나는 향기나는 바람이 되어 가고 싶은 온 장소를 부드럽고 자유롭게 흘러흘러 떠다닐 것이라고 했다. 육체의 고통을 너무나 벗어나고 싶어했던 친구였기에 너는 원하는대로 꼭 그렇게 되리라고 만날때마다 늘 얘기해주고 진심으로 믿어주었다. 본인 못지않게 고통에 힘들어한 그의 모습을 보는 것도 늘 마음이 아팠던 나였기에 어쩌면 내가 그렇게 될거라고 더 확실히 믿었는지도 모르겠다. 그 친구는 몸에서 나는 고통의 냄새를 늘 지우고 싶어했다. 그래서 매일 본인이 가장..

지금 이순간이다. 나를 보고도 놀라지 않고 너무나 침착하고 평온한 표정으로 상큼하게 웃으며 말할리가 없기 때문이다."여기가 또 다른 지구군요. 반가워요. 이런 날이 올 줄 저는 믿고 있었어요" 또다른 우주가 있을 거라는 막연한 생각은 해본 적은 있어도 이렇게 구체적인 실체로 볼 줄이야. 그 사람이 어떻게 평행우주에서 왔는지 확신하냐고? 그건.. 그 사람은 또다른 나였기 때문이다. 전신거울을 앞에두고 얘기하듯 너무나 똑같은 또다른 나?는 그러나 분명 겉모습은 나지만 겉모습을 빼곤 전혀 내가 아니었다. 아찔한 현기증에 순간 넘어질 뻔한 나를 그 사람은 친절히 잡아주며 " 많이 혼란스러울거에요. 그치만 나는 당신과 전혀 다른 인격체에요. 당신이 선택하지 않거나 하지 않은 모든 행동, 가지 않은 길이 제 인생이..

최근 들어 내이름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없었는데, 이런 참신하고 늘 새로운 질문들이 생각의 폭을 확장시켜 주고 있다. 참 고마운 책이다. 예전같으면 그냥 머야,,, 아 쓸데없어, 귀찮아, 이런질문이 무슨 의미가 있나..식의 귀차니즘 게으름주의가 늘 발동대기태세였다면, 지금은 나를 돌아보고 내자신을 깊숙이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다. 평생 안고살아갈 나를 제대로 알아간다는 것은 가장 소중한 내영혼과 둘도 없는 친구가 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. 들여다보고 질문하는 힘은 생각외로 강하게 나를 지탱해주고 지지해주고 있다. 몸이 좀 고되고 힘든날은 건너뛰거나 쉬는 날도 있겠지만, 나를 위한 작업은 계속 이어갈 것이다. 오늘 질문으로 돌아가서 별명은 남들이 부르는 별명은 없지만 가족들한테 늘 듣..